혈액 응고 검사 PT, aPTT, fibrinogen, D dimer, FDP
Prothrombin Time (PT)
혈장에 조직트롬보플라스틴과 칼슘을 넣으면 제 VII인자, 제 V인자, 제 X인자의 관여로 프로트롬빈(제 II인자)이
트롬빈이 되고 트롬빈은 피브리노겐(제 I인자)를 피브린으로 전환시켜서 응고덩어리를 형성한다.
PT time은 외인계 경로와 공통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이상을알아보는 선별검사이다.
혈장에 조직 트롬보플라스틴과 칼슘을 넣어서 응고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PT가 연장되는 경우
· 응고인자 Ⅱ, V, Ⅶ, Ⅹ or fibrinogen의 선천적 또는 후천적 결핍간경화, 간염
· 비타민 K antagonist로 치료한 경우
· 비타민 K 결핍(만성 장질환, 폐쇄성 황달, 신생아 흑변)
· 섬유소용해 (fibrinolysis)
· DIC (과잉 응고로 인한 소비)
· 저지 물질의 출현
· 항응혈약(coumarin계, indanthions계 약물) 투여
PT가 단축되는 경우
· 급성 혈전성 정맥염
· Digitalis 요법 후, Ether 마취 후
· 다발성 골수종
· 응고시간의 단축 혹은 활성치의 상승이 발견된다고 해서 과응고 상태라고 단정하기 어렵다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혈장에 thromboplastin (인지질)과 칼슘을 넣고 응고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PT 측정과 동일하지만,
PT와 PTT의 차이점은 사용하는 thromboplastin 시약이다
· PT: 지단백, complete thromboplastin, 응고시간 10-15초, 정상혈장, 혈우병 혈장 모두 응고시킨다.
· PTT: 인지질, incomplete or partial thromboplastin, 응고시간 50-90초, 혈우병 혈장만 응고를 연장시킨다.
PT는 외인계, PTT는 내인계 응고계를 주로 반영하며 PTT는 기술상의 차이가 결과에 영향을 크게 미치기에
활성 부분 thromboplastin (aPTT)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 aPTT 또한 PTT와 사용하는 시약이 다르다.
aPTT가 연장되는 경우
· 제 II, V, X, XI, XII 인자 결핍증
· von Willebrand 병
· 저 또는 무 피브리노겐혈증
· 혈우병 A, B 약제 투여(헤파린 등)
· 간장애
· DIC
· Lupus anticoagulant의 존재
aPTT가 단축되는 경우
· 응고 억제 물질의 저하
· DIC (혈관 내에 활성화 물질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 임산부, 조직액의 혼입
· 항응고제와의 혼합 불충분 (false)
임상적 의의
· Intrinsic pathway screening test
· Monitoring Heparin treatment
· Detect severe functional defect in factor Ⅱ,Ⅴ,Ⅹ,Ⅰ (common pathway)
· 혈우병
· Von Willebrand disease에서 제 VIII 인자가 다소 감소하지만 PTT 결과는 정상범위를 보이기도 한다.
섬유소원 정량 (Fibrinogen quantification)
혈장에 thrombin 용액을 가해 응고시간을 측정하고 fibrinogen량으로 환산하는 방법으로 thrombin 시간법이라고 한다.
충분한 양의 트롬빈에 의한 fibrinogen -> fibrin 전환속도는 주로 fibrinogen 농도에 의존하는데
높은 농도일수록 thrombin 시간을 짧고 저농도 일수록 연장된다.
Fibrinogen 감소
· 급성DIC
· 간질환
· 혈전증 치료
· dysfibrinogenemia, hypofibrinogenemia
Fibrinogen 증가
· Acute-phase reactant
· 임신, 염증, 수술 후, 에스트로겐 복용은 간에서 fibrinogen생성을 촉진한다
D-dimer
상처부위가 치유되면 혈전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고 플라스민(plasmin)이라는 효소를 이용하여 혈전을 작은 조각으로 절단하여 제거될 수 있게 합니다. 혈전 안의 분해된 섬유소 조각은 섬유소분해산물(FDP) 이라고 불립니다. 섬유소분해산물 중 하나가 D-이합체이며, 결집된 섬유소의 다양한 크기의 조각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mmunoturbidimertry method를 이용하여 시약 내의 specific monoclonal antibody와 반응시켜 검사하며
공유 결합한 mricro particle이 plasma내의 D-dimer와 응집하여 혼탁도를 증가시키고
혼탁도의 증가는 light absorption의 증가를 나타내고 이것은 plasma 내의 D-dimer의 양과 비례하게 된다.
임상적의의
·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 Venous thromboembolic disease
· Congestive heart syndrome
· Aging
· Pregnancy
· Inflagmmation
· Malignancy
· Coronary artery disease
· Myelocardial infarction
Fibrinogen Degradation Product (FDP)
F섬유소원 또는 섬유소가 활성화된 plasmin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생성된 물질
Monoclonal anti - FDP 가 부착된 latex 입자를 혈장 내에 있는 fibrin / fibrinogen degradationproducts (FDP)와
반응시켜 즉시 육안으로 응집여부를 관찰하는 반정량의 latex agglutination법
FDP 증가
· 신장 이식 후 루프스 신염, 만성 신부전
FDP 감소
· DIC, 혈전증, 신질환, 백혈병 (M3), urine FDP
임상적 의의
· Fibrinogen과 fibrin이 plasma에 의해 용해되어 생성된 물질, 혈전용해용법의 모니터링에 활용
http://guro.kumc.or.kr/dept/main/index.do?DP_CODE=GRCP&MENU_ID=003036054054
진단검사의학과
혈액 응고 검사 혈액응고 검사는 혈액이 응고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검사이며 응고인자 결핍 및 혈전증이나 동맥경화증을 조기 발견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혈관벽 이상을 사전에 예측
guro.kum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