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데노신 adenosine
Adenosine is a chemical found in human cells. There are three different forms: adenosine, adenosine monophosphate (AMP), and adenosine triphosphate (ATP).
Adenosine blocks electrical signals in the heart that cause irregular heart rhythms. ATP might also prevent changes in energy metabolism that cause weight loss in people with advanced cancer.
An injectable form of adenosine is a US FDA-approved prescription drug for a condition involving rapid heart rate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It is also used as a prescription drug to help measure blockages in the arteries of the heart. People also use adenosine, AMP, and ATP as supplements for athletic performance, cold sores, and many other purposes, but there is no good evidence to support these uses.
심실상 빈맥(supraventricular tachycardia, SVT) 환자에서 아데노신은 박동을 식별하고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특정 심실상 빈맥은 아데노신으로 성공적으로 종결시킬 수 있다.[8] 여기에는 재진입을 위해 방실결절을 필요로 하는 부정맥(예: 방실 회귀성 빈맥(atrioventricular reentrant tachycardia, AVRT)), 방실결절 회귀성 빈맥(atrioventricular nodal reentrant tachycardia, AVNRT)을 포함한다. 또한, 심방 빈맥은 때때로 아데노신으로 종결될 수 있다.
심방(예: 심방세동, 심방조동) 또는 심실(예: 심실 빈맥)에 국한되고 재진입 회로의 일부로 방실결절을 포함하지 않는 심장의 빠른 박동은 일반적으로 아데노신에 의해 변환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심실의 반응 속도가 아데노신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감소한다.
아데노신은 정맥 주사 투여시 방실결절(AV node)에서 일시적인 심블록을 일으킨다. 이는 아데노신 A1 수용체를 통해 매개되어 아데닐산 고리화효소를 억제하고, cAMP를 감소시키며, 따라서 내향성 칼륨 통로를 통해 K+ 유출을 증가시켜 세포막의 과분극을 유발하여, 이 후에 Ca2+ 흐름을 저해한다.[19] 아데노신은 또한 동맥벽 안에서 발견되는 평활근의 내피 의존적 이완을 유발한다. 이것은 동맥의 정상적인 부분의 팽창을 일으키는데, 이 부분은 내피가 죽종에 의해 혈관 중간막으로부터 분리가 되지 않는 곳이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의사는 아데노신을 사용하여 정상 부위와 비정상 부위의 차이를 강조하여 관상동맥의 폐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아데노신의 투여는 또한 폐색 이후에 관상동맥으로의 혈류를 감소시킨다. 다른 관상 동맥은 아데노신이 투여될 때 확장되며, 폐색된 부분은 이미 최대로 확장되는데, 이것은 관상동맥 스틸이라고 불리는 과정이다. 이로 인해 허혈성 조직에 도달하는 혈액의 양이 적어지고, 차례로 특징적인 흉통을 만들어낸다.
아데노신 주사 용법용량
1. Wolff-Parkinson-White(WPW) 증후군을 포함한 발작심실상성빈맥의 정상적인 동율동으로의 신속한 전환
1) 초회 용량 : 아데노신으로서 3 mg을 신속히 정맥주사한다(2초 이상).
2) 2차 용량 : 만약 초회 용량으로 심실상성빈맥이 1 ~ 2분 이내에 소실되지 않으면 6 mg을 신속히 정맥주사한다.
3) 3차 용량 : 만약 2차 용량으로 심실상성빈맥이 1 ~ 2분 이내에 소실되지 않으면 12 mg을 신속히 정맥주사한다.
추가 또는 증량 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2. 심전도로 진단되지 않은 복합형 심실상성빈맥의 진단보조 : 진단이 확실시 될 때까지 1의 용법·용량에 따라 투여한다.
이 약은 사용시, 반드시 bolus로만 투여하여야 한다. 이 약은 확실히 전신순환되기 위해서 직접 정맥에 주사하거나 수액관을 통하여 정맥에 주사한다. 만약 수액관을 통하여 주사할 때는 가능한 한 인체에 가까운 부위에 주사하고 신속히 생리식염 주사액을 주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