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처치 flow

Medicine and Human 2022. 6. 26. 18:42
728x90

뇌조직은 평상시에도 많은 양의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그런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뇌혈관에 폐색(혈관 등을 이루는 관이 막히는 경우)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조직이나 세포의 일부가 죽는 것)가 시작된다. 뇌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이를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이라고 한다.

증상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편측마비, 안면마비, 감각이상, 구음장애(발음이 어눌해지는 현상) 등이 흔히 발생한다. 그러나 허혈성 뇌졸중의 증상은 폐색된 혈관이 뇌조직의 어느 부위에 혈류를 공급하고 있었는지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하였던 운동기능 및 감각기능의 부전 이외에도 실인증, 실어증이 첫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갑작스런 시야장애 및 의식 소실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는 허혈성 뇌졸중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증상이 단일한 허혈성 뇌졸중에서 모두 발생할 수도 있지만 일부의 증상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허혈성 뇌졸중에 동반되는 편측마비, 안면마비, 감각이상 등은 대개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조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 편측마비 및 안면마비 등의 증상이 일시적으로 발생하였다가 좋아지는 방식으로 나타나므로 알아차리기 힘든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조 증상이 동반되는 빈도 역시 높지 않다. 이에 미국에서는 F.A.S.T라는 문자의 조합을 이용하여 뇌졸중의 증상을 일반인에게 홍보하고 있다. F(Face)는 안면마비, A(Arm)는 팔(혹은 다리)의 근력 저하, S(Speech)는 구음장애를 의미하며, T(Time)는 뇌졸중의 증상을 인지하는 즉시 구급차를 이용하여 병원으로 가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뇌졸중의 증상 - FAST

[네이버 지식백과]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이런 증상이 나타났을 때 빠르게 병원으로 이동.

 


 

 

1) brain CT 촬영 > 출혈 소견 확인. 뇌졸중 증상이 출혈(hemorrhage)이 경색(infarction)인지 구분. 잘하면 경색에서 혈전이 혈관을 막고있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일단 출혈이 아니고 증상 발생 4.5시간 이내면 혈전용해제(tPA) 투여.

 

2) tPA, 또는 기계적 혈전 제거술 (혈관재개통 - 혈관 속에 관을 넣어 혈전을 빼냄)을 시행할 수 있으면 시행

 

3) 심전도, 심장초음파 > 이후에는 뇌경색의 원인을 찾아야 한다. atrial fibrillation이 있는지, 심장에 thrombus가 있는지 확인. 그 원인에 따른 치료를 이후에 진행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