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항콜린 anticholinergic
Medicine and Human
2022. 8. 4. 23:48
728x90
아세틸콜린수용체에 아세틸콜린과 경쟁적으로 결합해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방해. > 부교감신경계를 억제
[아세틸콜린의 부교감신경계 작용]
심박동수, 심박출량 감소 / 혈압 감소 / 침, 위산 분비, 소화관 연동운동과 장액 분비 촉진 / 기관지에서 기관지 분비 촉진, 기관지 수축 / 배뇨근의 긴장도 증가시켜 배뇨 촉진 / 눈에서 모양체근 수축을 일으켜 근시를 나타내고, 동공조임근 수축시켜 축동야기
>> 항콜린제는 위 부교감신경계 작용을 억제하여 반대 효과 발생
[항콜린제]
무스카린성 길항약 (대부분) - 소화/심혈관/호흡기의 부교감신경 억제 / 산동제 / 파킨슨증 떨림 완화 / 근골격 이완 통증 완화 / 위장관 경련 완화 / 과민성방광 증상 치료 / 기관지 확장 / 다한증
니코틴성 길항약 - 신경근 차단제
[항콜린제 부작용]
졸림, 입마름, 변비, 배뇨장애, 시야 흐림, 안구 건조, 안압 상승, 소화불량, 반동성 빈맥(저용량에서 심박동 감소, 고용량에서 심박동 증가), 땀 분비 억제, 기관지 이완
(항콜린제 복용 노인들 인지기능 저하 및 치매 발병율 상승 주의 연구중)
[항콜린제 이외에 항콜린 작용을 나타내는 약물]
- 1세대 항히스타민제 first generation antihistamines (for example: chlorpheniramine, diphenhydramine)
- 삼환계항우울제 tricyclic antidepressants (for example: amitriptyline)
- 일부항정신병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