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산소혈증 (Hypoxemia) 의 원인 중 호흡기 질환
A : Alveolar
a : artery
몸에서 CO2 생산량 = 폐포환기량 * PaCO2(CO2분압)
몸에서 CO2 생산량은 보통 일정하기 때문에 PaCO2(동맥혈가스 측정)을 알면 폐포환기량을 알 수 있다.
(: 환기 잘 되면 혈액에 CO2 감소 / 환기 안 되면 혈액에 CO2 증가)
폐포와 동맥혈의 O2 차이 : (A-a)DO2는 5~15mmHg 정도
(A-a)DO2가 정상인데 PAO2가 감소하면서 PaO2도 감소하는 것이 폐포 전환기 hypoxemia
PAO2 = 150 - PaCO2/R(=0.8)
과정 : 혈액가스분석으로 PaO2, PaCO2를 측정한다. 위 공식을 사용하여(PAO2 = 150 - PaCO2/R(=0.8)) (A-a)DO2를 계산하여 정상치라면 폐포저환기가 hypoxemia의 원인이고, 증가되어 있다면 다른 원인(확산장애, 환기관류불균등분포 V/Q mismatch, 단락 shunt)을 생각할 수 있다.
1) 폐포 저환기 hypoventilation
폐포 내의 공기 (alveolar air) 교환이 나쁨. 신선한 공기가 들어오지 않음.
기전 : 호흡횟수 감소 / 1회 호흡량 감소 / 사강(dead space : 환기는 되는데 관류(혈액)가 안 되는 영역) 증가
2) 확산장애 diffusion disorder
폐포간질에 염증이 생겨 삼출액이 고이거나 섬유화가 일어나 폐포중격이 두꺼워졌을 때 확산장애가 나타난다.
이 경우에 폐포 공기의 산소분압을 높이면(고농도 산소 투여) Hb를 충분히 산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3) 환기관류비 불균형 V/Q mismatch
정상의 경우에도 서 있는 자세에서 관류는 폐저부에 집중(혈액에 중력 영향), 환기는 폐첨부에 집중(폐저부 폐포는 위쪽 무게에 눌림)
폐포환기량 = 1회 호흡량 - 사강
4) 단락 shunt
환기에 관여하지 않은 관류(혈액). 기도가 폐쇄되어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 폐포에서 혈액이 그냥 지나쳐 감.
atelectasis, emphysema
### 정리 - Hypoxemia
1) (A-a)DO2가 정상 : 폐포 저환기 hypoventilation
2) (A-a)DO2 증가 : PaO2가 내려가서 호흡중추 자극 > 과환기 > PaCO2 감소
고농도 O2 투여!
2-1) PaO2 완전 교정 = 확산장애 diffusion disorder
2-2) PaO2 일부 교정 = V/Q mismatch
2-3) PaO2 그대로 = Shu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