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 정상 월경 과정 배경 지식

난소 : follicle이 성장하며 배란이 일어나는 곳. follicle이 성장하면서 성호르몬(estrogen & progesterone) 방출

estrogen : 자궁의 endometrium proliferation (증식) - 착상(임신)하기 좋도록 변화. 그러나 증식하는 조직은 불안정함.

follicle이 성장하다가 어느 순간 LH surge가 일어나면서 ‘배란’
배란 후에는 corpus luteum이라는 구조물 형성. corpus luteum에서는 progesterone을 생성

progesterone : endometrium 안정화 (estrogen에 의해 증식한 endometrium은 불안정하다.)

# Ovulatory cycle : ovary에서 follicle의 성장, 배란 과정을 기준으로 표현
follicle이 성장하는 시기(estrogen 생성) = follicular phase
배란 후 corpus luteum에서 progesterone 생산하는 시기 = luteal phase

# Menstrual cycle : 자궁의 endometrium의 변화를 기준으로 표현
estrogen에 의해 endometrium 증식 = proliferative phase
Progesterone이 작용하는 시기 = secretory phase

Progesterone이 안정화시킨 endometrium에 수정란이 착상할 수 있다.
• 착상하여 임신이 진행된 경우에는 conceptus(수정의 산물)에는 trophoblastic tissue 생성 > 이후 syncytiotrophoblast에서 hCG 호르몬 생산. (hCG는 LH와 구조가 비슷하여 LH receptor에 작용. 따라서 pituitary에서 LH생산이 감소하더라도 hCG가 대신 corpus luteum에 작용하여 progesterone을 계속 생산하게 만듦) > 계속 임신이 지속되면 어느순간 progesterone을 만드는 역할을 placenta가 대신하여 임신 유지됨. (임신 초기에 corpus luteum에 문제 생기면 progesterone 부족으로 유산되는 경우 있음)
• 임신이 안 됐다. > 어느순간 pituitary gland에서 나오는 LH 감소 > corpus luteum에서 progesterone 생산 감소 > endometrium 불안정 > endometrium의 허혈성 변화, shedding = menstruation (=progesterone withdrawal bleeding) (cf. estrogen에 의해 미리 증식한 endometrium에서만 progesterone withdrawal bleeding이 가능하다.)



#######

Hypothalamus에서 나온 GnRH는 anterior pituaitary에 있는 gonadotroph 세포를 자극한다.
gonadotroph에서는 FSH, LH 분비 (= 2 gonadotrophy)

FSH = follicle의 growing 자극

# follicle(follicular cell)에는 2가지 세포 (= 2 cell)
1) theca cell = LH receptor (LH가 작용하면 theca cell은 콜레스테롤을 이용해서 androgen 생산)
2) granulosa cell = FSH receptor (theca cell이 만든 androgen을 받아들임. FSH가 작용하면 androgen을 estrogen으로 aromatase 효소를 이용해서 만듦)

> 2 cell 2 gonadotrophin theory : 위에서 나온 2가지 gonadotrophy 세포와 2가지 follicular 세포의 작용으로 ovary에서 성호르몬이 생성된다.

# Corpus luteum (배란 후)
1) luteinized granulosa cell = LH receptor 생김. LH가 작용하면 progesterone 생성


#######

cf) 여자의 menstruation cycle은 보통 luteal phase가 일정하다.
다음 배란일을 계산하고 싶으면

생리 시작일에서 2주 ‘후‘가 아니라.. (follicular phase는 변화 많음. 폐경이 가까워지면 frequent - follicular phase 짧아짐. 폐경에 가까우면 gonadotrophin(FSH,LH) 증가하기 때문)
다음 생리 시작일 2주 ‘전’이 더 정확하다!! (luteal phase가 더 일정하기 때문)


728x9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