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젊은 우울 환자
> 조증삽화 확인 : 양극성 장애 감별
# Lithium
백혈구를 증가시키는 유일한 약
# 양극성장애 조증삽화 drug
기분조절제 (lithium, valproate)
“Atypical 항정신병약물” : 리스페리돈, Quetiapine, Olanzapine 등 (< 이것도 1st line)
# 양극성장애 우울삽화 drug
리튬, 라모트리진, Quetiapine
# 난치성 조현병 : 2가지 약도 실패
> clozapine 시도
# 항정신병 약 부작용이 발생했다
> aripiprazole 시도 (부작용 가장 작음)
# 조현정동장애
- 기분삽화가 없을 때도 정신병적 증상 존재. 기분 삽화가 대부분 기간 존재
- 기분삽화 내에서만 정신병적 증상 보이면 기분장애 쪽 (양극성, 우울..)
# 조현양상장애
1개월~6개월 지속 + 삽화 후 병전 기능 회복
# 단기 정신병적 장애
1개월 이내(음성 증상은 제외). 완전 회복
# 난동부리는 환자 대처 (경구투여, 혈관주사 어려움)
할로페리돈 근육주사 - 항정신병 약물. 도파민 낮춰서 진정효과도 있음
로라제팜(아티반) 근육주사
# ADHD 치료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DHD only > 메틸페니데이트
ADHD + Tic > 아토목세틴 (ADHD + 불안)
#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
도파민을 낮춰야 함 - 항정신병 약
Ex. 아리피프라졸, 리스페리돈
cf) 떼쓰고 울고 때리는 아이 > 리스페리돈
상동증 없으면 ’사회의사소통장애‘
# 틱 1개는 관찰. 약물 치료해야하는 경우
1년 이상 지속 또는 뚜렛(=틱 2종류)
도파민 감소 > 아리피프라졸 (항정신병약)
# 라모트리진 부작용 - 피부병변
# 언어발달
18개월부터 급격하게 발달 (하루에 7단어)
만2세 > 2단어 문장 : 물 주세요
만3세 > 3단어 문장
# 반응성애착장애
멍함. 무관심. 선택적으로 대화. 시선 ‘회피’
자폐 : 모든 사람에 무관심, 상동행동 (좋아하는 행동 있음), 시선을 마주치지 않음
# 비밀 유지의 예외 사항
자살 / 타살 / (성)폭력 / 임신 / 미성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