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exogenous FSH를 과다투여하여 난포 여러개를 성숙시킨다. 이때 성숙한 난포에서 생산한 estrogen이 LH surge를 일으키면 배란되어 난자 채취가 어렵다.

> GnRH agonist/antagonist를 사용하여 난포를 성숙시키면서 LH surge를 막아 배란은 억제한다.

 

# GnRH agoinst

GnRH 대신 receptor에 붙어서 LH, FSH 다량 유도 = flare up effect

> LH, FSH가 너무 많아 탈감작하여 receptor를 줄인다 = desensitization, down regulation

>> 따라서 GnRH agonist를 중단해도 일정기간은 GnRH 효과가 줄어들어 있다.

- down regulation되는 시기가 필요하여 난포 유도 3주 전부터 투여 시작 > LH, FSH 저해되었을 때 exogenous FSH 주입

 

# GnRH antagonist

GnRH와 경쟁적 저해제로 작용, receptor에 붙어 작용을 억제함

> GnRH antagonist를 중단하면 바로 GnRH 효과가 나타남

- 준비기간 필요없이 exogenous FSH 주입하여 난포 유도 > LH surge 일어날 때 쯤 GnRH antagonist 사용

728x9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