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사구체 질환 : 사구체가 다양한 기전으로 장애를 받아 단백뇨나 혈뇨, 신장기능장애를 초래하는 질환.

 

> WHO의 임상증상에 의한 분류

1) 급성 신염 증후군/급성 사구체 신염 (acute nephritic syndrome) : 선행 감염 후 급격히 혈뇨, 단백뇨, 부종, 소변감소증, 고혈압, GFR감소 

2) 무증상 단백뇨 혈뇨 증후군 (recurrent or persistent hematuria) : 혈뇨 발병, 단백뇨는 나타나지 않거나 경미

3) 만성 신염 증후군/만성 사구체 신염 (chronic nephritic syndrome) : 단백뇨나 혈뇨 지속적, 경과와 함께 고혈압, 신장기능저하

4) 신증후군 (nephrotic syndrome) : 대량의 단백뇨와 저단백혈증(저알부민혈증), 부종이나 고지혈증 동반 (성인 하루 3.5g이상 단백뇨, 혈청 총단백 < 6g/dL, 혈청 알부민 < 3g/dL)

5) 급속진행성 신염 증후군/급속진행사구체신염 (rapidly progressive nephritic syndrome) : 수주일에서 수개월 안에 신장기능장애가 진행. 단백뇨나 혈뇨 외에 요침전에서 telescoped sediment 나타나고 권태감, 고혈압, 빈혈, 고질소혈증

(+ 말기 신부전)

 

> 조직소견에 의한 분류

- 최소변화신장병증

- 국소분절모양 병변

- 미만성 사구체신염 (막성 사구체신염, 증식성 사구체신염, 경화성 사구체신염)

- 분류 불능의 사구체신염

 

사구체질환은 면역학적 기전, 혈관장애에 의한 혈행역학적 기전, 지질대사 이상, 당대사 이상 등이 관여. 대부분 면역학적 기전. - 면역복합체(IC)나 항체(면역글로불린), 보체의 침착

 

병태생리

-사구체 장애 : 혈관간세포 증식, 사구체 내로 염증세포 침윤, 사구체모세혈관벽의 장애

> GFR 감소 - Na 배설 감소 - 신장고혈압, 부종

> 혈뇨

> 단백뇨 - 요세관, 간질 장애(단백질의 과도한 흡수 분해)

- 사구체장애의 진행(정상 네프론의 감소)  : 사구체고혈압, 정상 네프론에서의 사구체 과잉여과, 사구체 경화

 

사구체질환의 약물요법

- 면역억제(스테로이드), 혈압강하(ACEi, spironolactone, diuretics), 혈전예방제, 지질저하제

 

 

# 급성 사구체신염 acute glomerulonephritis : AGN

80~90%는 용혈연쇄상구균 (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us) 감염 후에 일어난다. (보통 피부감염, 또는 상기도 감염 후 1~2주 이후.

진단 : ASO(antistreptolysin O) 상승 & 보체(CH50, C3) 감소

침상안정, 항생제(페니실린), 혈압강하제, 이뇨제. 식사요법(저단백, 고칼로리, 저염식, 수분제한)

 

 

 

 

 

728x9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