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EGFR ]
EGFR은 세포의 성장, 분열, 생존 및 사멸을 조절하는 세포막 수용체의 그룹입니다. 많은 암에서 종양 조직 내에 EGFR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수용체의 증폭과 과 발현 때문입니다. EGFR이 증가된 종양조직은 더 침습적이고 더 전이를 잘하며 항암요법에 더 저항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예후도 좋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EGFR을 목표로 하여 항암요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EGFR-특이항체가 수용체에 결합하여 악성 종양의 일부에서 신호를 억제합니다.
증폭 또는 과발현된 EGFR의 양을 검사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존재하는 EGFR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유전자 단계에서 유전자 증폭을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존재하는 유전자 복제본의 수를 측정합니다.
EGFR검사는 대장암, 비소세포성폐암, 교모세포종(뇌종양의 일종), 두경부암, 유방암, 췌장암 등의 암을 진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차적으로는 특정 암의 치료방법 결정에 유용한 정보가 되며, 환자가 EGFR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표적치료에 이득을 받을 수 있을지를 평가합니다.
“EGFR 억제제” 라고 불리우면 약들은 EGFR의 작용을 표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환자가 증가된 양의 EGFR을 가진 종양을 가지고 있을 경우 EGFR억제제는 암치료의 한 부분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는 공격적인 암세포의 향후 진행을 예측하는 예후인자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https://labtestsonline.kr/tests/egfreceptor
표피생장인자수용체(EGFR)
EGFR은 세포의 성장, 분열, 생존 및 사멸을 조절하는 세포막 수용체의 그룹입니다. 많은 암에서 종양 조직 내에 EGFR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수용체의 증폭과 과 발현 때문입니다. EGFR
labtestsonline.kr
[ Her2/neu ]
Her-2/neu는 암유전자의 일종입니다. 이는 세포성장을 촉진하는 특정 성장인자의 수용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입니다. 인체에서 발견되는 정상 상피세포는 두 개의 Her-2/neu 유전자를 갖고 있고, 세포 표면에 낮은 농도의 Her-2/neu 단백질을 생성합니다. 침습적 유방암(및 난소암과 방광암과 같은 일부 다른 암)의 약 20-30%에서 Her-2/neu 유전자가 증폭되고 단백질이 과다발현됩니다. 과다발현된 종양은 더 공격적으로 성장하고, 호르몬치료 및 일부 항암치료에 저항성을 갖는 경향이 있습니다. Her-2/neu 양성 유방암을 가진 환자는 예후가 더 불량한 경향이 있지만, 이러한 종양적 특성으로 인해 Her-2/neu 양성인 암만 가능한 특정 치료의 후보가 됩니다.
종양이 Her-2/neu 양성인지 결정하기 위해 생검을 실시하고 종양 조직을 검사하게 됩니다. Her-2/neu 상태를 검사하는 중요한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면역조직화학법(IHC) 및 형광동소제자리부합법(FISH). 면역조직화학법 은 존재하는 Her-2/neu 단백질의 양을 측정합니다. 형광동소제자리부합법 는 유전자 관점에서 실제 유전자 증폭-존재하는 유전자 개수-을 관찰합니다. IHC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일차 검사법입니다: 하지만 애매하거나 음성인 경우, FISH 검사가 추적검사로 시행되기도 합니다.
혈액에서의 Her-2/neu 검사도 가능합니다. 혈청에 존재하는 Her-2/neu 단백질의 양은 존재하는 Her-2/neu 양성인 암세포의 양과 대체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이 검사는 선별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조직 검사의 대체용도 아니지만, 환자의 예후를 평가하고 치료의 효과를 감시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의뢰될 수 있습니다. 전이성 유방암의 일차 진단 후, 혈액 검사를 시행하여 농도가 15 ng/mL 이상인 경우는 이 검사를 치료를 감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Her-2/neu 검사는 전이성 유방암의 진단 후, 유방암 종양이 얼마나 공격적인지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예후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대개 에스토로젠 수용체 및 프로제스테론 수용체(ER 및 PR)와 함께 의뢰됩니다. 이들 세 검사의 결과는 환자의 예후, 호르몬 치료 및 항암치료와 같은 특정 치료의 반응에 대한 정보를 줍니다.
혈청 Her-2/neu 검사는, 예를 들어 호르몬 치료, 항암치료 또는 Her-2/neu 표적치료를 포함하여 항암치료를 받는 Her-2/neu 양성 유방암 환자를 감시하는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혈청 Her-2/neu 수치가 초회에 증가되어(15 ng/mL 이상) 있고 이후에 감소한다면,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계속 증가되어 있다면 치료는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수치가 감소 후 다시 증가한다면 암이 재발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IHC Her-2/neu 검사가 양성이면, 이는 Her-2/neu 유전자가 Her-2/neu 단백질을 과다발현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FISH 검사가 시행되면, Her-2/neu 유전자 증폭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두 검사 중 한 쪽에서 양성이면, 환자는 공격적인 종양을 갖고 있고, 호르몬 치료에 반응을 잘 하지 않으며, 항암치료에 저항성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들은 Her-2/neu 단백질을 표적으로 만들어진 약물인 trastuzumab (허셉틴) 치료의 후보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 BRAF ]
The BRAF gene is a proto-oncogene found on chromosome 7, and becomes an oncogene when mutated. The gene codes for a protein (a serine-threonine kinase) that sends signals from outside of the cell to the nucleus that in turn drives the growth of a cell.
갑상 선암종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되고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유 전적인 이상이 BRAF 돌연변이이다. BRAF는 RAS에 의해 활 성화되고 결합되어 세포막에 전위된 세린(serine)-트레오닌 (threonine) kinase로서 갑상선암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변이는 600번 아미노산인 발린(valine)이 글루탐산(glutamic acid)으로 치환된 것(V600E)으로 1799번 뉴클레오티드의 점 돌연변이가 원인이다. BRAF(V600E) 돌연변이는 유두암에서 가장 흔하지만, 미분화암이나 역형성암의 1/3에서도 발견된다. BRAF 돌연변이는 BRAF kinase의 항시 작용, MEK과 ERK kinase의 인산화를 통해 MAPK 경로를 지속적으로 활성화 시키며 최근 들어 많은 연구에서 BRAF 돌연변이와 갑상선 암의 공격적인 임상 및 병리학적 특징, 즉 림프절 전이, 갑상선 피막외 침습, 진행된 임상병기, 종양 재발, 재수술, 암관련 사망 등과 상관 관계가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BRAF(V600E) 돌연변이는 갑상선암 이외에도 악성 흑색종 (melanoma)의 약 50%, 대장-직장암의 약 15%, 모양세포성백혈병(hairy-cell leukemia)의 거의 모든 경우에서도 발견 된다.
BRAF-targeted therapies show remarkable efficacy in BRAF-mutated melanoma with the presence of a BRAF V600 mutation serving as predictive biomarker of response. Two BRAF inhibitors, vemurafenib and dabrafenib, and one MEK inhibitor, trametinib have been approved in Europe for the treatment of adult patients with unresectable or metastatic melanoma with a BRAF V600 mutation [5-7]. Treatment of patients with BRAF-mutated melanoma with these targeted therapies has reversed the poor prognosis associated with this molecular alteration. These patients now have a longer median survival than those patients with wild-type BRAF melanoma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