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항부정맥제
Class 1 : Na channel blocker
- 1A : repolarization prolonged (procainamide)
Class 2 : beta blocker
- propranolol
Class 3 : K channel blocker
- amiodarone, ibutilide
Class 4 : Ca channel blocker
- non-DHP CCB (verapamil, diltiazem) ~ beta blocker(class 2)와 작용 거의 비슷!
기타 : digoxin, adenosine
# 서맥형 부정맥 bradyarrhythmia
- P wave를 찾는다
- P와 QRS와의 관계 파악
Ex) sinus bradycardia / sinus arrest (P 없음. 동휴지) / AV block (P 나오다가 QRS 한번씩 빠짐 or 완전히 따로 놀아서 QRS 간격은 규칙적이다 = Complete)
# 빈맥형 부정맥 tachyarrhythmia
1) Narrow QRS
(1) Regular : AT, AFL, PSVT(AVNRT+AVRT), (sinus tachycardia)
(2) Irregular : AF, AFL with variable AV conduction
2) Wide QRS
(1) Regular : VT (대부분)
(2) Irregular : PMVT(polymorphic VT), VF
# 심근 질환
- Dilated cardiomyopathy : 심부전. 심장이 커짐. 수축기능 장애. 원인(virus, alcohol, peripartum, thyrotoxicosis)
-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급사. 가족력. 비대칭적 심실중격 두꺼움. Hemodynamics(dynamic LVOT obstruction ~~ 운동하다 실신 : AS(aortic stenosis), HCP 의심. 비슷한 증상). 심방세동 잘 동반.
#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치료 약물 : beta blocker, verapmil, diltiazem, disopyramide (심장을 천천히 뛰게 해서 LVOT가 두꺼운 심장 근육에 막히는 것 예방)
- *preload, afterload를 줄여주면 obstruction 악화 = murmur 커짐(: 갑자기 일어설 때 & Valsalva maneuver 때)
- 금기 약물 : preload, afterload 줄여줌(diuretics, vasodilator) / contractility 증가(digitalis, dobutamine)
- 급사 예방 : ICD (급성 심장사 가족력, 심실벽 두께 30mm 이상일 때 위험)
cf) DHP CCB (nifedipine, ~dipine) : 혈관 확장제
non-DHP CCB (verapamil, diltiazem) : AV block (HR 감소)
cf) MV prolapse & H-CMP(hypertrophic obstructive cardiomyopathy) 는 Valsalva 중에, 갑자기 일어났을 때 심잡음이 증가한다.
#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 극심한 스트레스 후 발생. 여성에서 많음
- 흉통, 심근 효소 상승, ST elevation 등 STEMI와 유사
- 심혈관조영술에서 유의한 협착 없음
- 심초음파에서 심장 기저부만 수축
- 대개 저절로 회복됨
# 제 3심음 S3 murmur : LV에 혈액이 채워질 때 compliant LV인 경우 소리가 난다. ~ systolic heart failure에서 dilated LV 때문에 나타나는 소견일 수 있다.
# AF (atrial fibrillation)
- Narrow QRS tachycardia, Irregular
- 심실박동수 조절(rate control) : beta blocker(bisoprolol, propranolol) and/or non-DHP CCB(diltiazem, verapamil)
- CHA2DS2-VASc score 높으면 항응고제 : Warfarin, NOAC(rivaroxaban, dabigatran, apixaban)
- acute AF이고 혈역학적 불안정=저혈압 때 DC cardioversion(직류 심율동전환)
심장이 쿵 내려앉는다 > VPC? (증상 없으면 관잘, 증상 있으면 beta blocker)
'KM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과 문제 풀이 #1 (0) | 2022.11.09 |
---|---|
역학 (예방의학) (0) | 2022.10.23 |
빈혈 anemia 대략 정리 (0) | 2022.10.22 |
내과 문제풀이 요약 #2 (0) | 2022.10.20 |
내과 문제 풀이 요약 #1 (0) | 2022.10.18 |